수필
내복(內服)
외 2편
이정자
겨울의 길목이다. 조석으로 찬바람 달린다. 시골에 계시는 친정 부모, 동생 얼굴이 떠오른다.
서울에서 직장 다니는 아들에게 제주도 꽃 소식을 전한지 어제 같건만 어느덧 단풍 소식을 듣게 되니 몸은 길 잃은 제비마냥 바다건너 줄달음친다.
오늘 방송에서 반가운 뉴스를 접했다. 요즘 신종 플루 때문에 백화점 인기품목은 겨울 내의란다. ‘내복은 몸의 일정한 체온을 유지시켜줄 뿐 아니라 최소 3도 이상의 보온 효과가 있어 건강을 지켜준다.’ 는 전단지가 기특하다. 내복을 부모에게 선물하는 경우가 많아졌기에 온정이 묻어나는 소식이다.
어릴 적, 형제들과 뒹굴던 친정집 안방이 뇌리에 펼쳐진다. 시골에 있는 친정집은 북풍한설이 불어오면 바닷가라서 염분 때문에 울타리에 사는 동백나무 가지마다 하얀 꽃눈을 틔우곤 했다. 어머니는 반농반어 일을 잠시 접으시고 밤마다 바늘 쌈지를 풀어놓고 헤진 빨간 내복을 기우셨다.
3남5녀의 대 가족이다. 언니 내복을 동생에게 대물림해도 우리는 불평이 없었고 당연히 물려받고 입기를 기다렸던 것이다.
어머니가 바느질하는 동안 우리들은 서로 몸을 비벼대면서 수수께끼나, 실을 길게 잡고 끓어 당기며 튕기는 놀이를 했다.
장난이 지나쳐서 울다가 싸움이 발발되면 어머니는 화해의 무기로 잘 삶은 고구마를 꺼내어 나눠 먹었다.
어느 해 겨울, 어머니가 할머님이 입었던 낡은 스웨터를 풀기 시작 했다.
푸는 실을 돌돌 말더니 화롯가에 큰 주전자를 올려놓고 김이 피어나는 주전자 코에다 실을 통과시키며 꼬불꼬불 휘어진 실 가락을 폈다.
실 풀어내는 일이 거의 끝 나가는데 나도 해본다고 풀어내는 실을 만지다가 그만 주전자의 뜨거운 물을 엎질렀다. 옆에 앉아있던 막내의 허벅지에 그만......., 대성통곡을 진정시키느라고 나는 어머니에게 매를 맞는 곤욕을 치렀다. 지금도 막내의 허벅지에는 커다란 흉터가 있다. 가끔 나보고 성형 수술을 해달라고 하면 “사랑하는 막내야, 너는 내 동생이라는 증표를 새겼으니 얼마나 좋으냐?” 고 횡설수설한다. 사랑의 묘약 앞에서 정이 도타운 막내가 정말 아깝다.
나도 내의를 선물 하는 일이 보편화 되었던 70년대 후반에 직장에 들어갔었다.
고향을 등지고 바다 건너 달려간 곳은 항구 도시 부산.
대망의 꿈을 안고 부산 영도에서 직장 생활을 시작했다. 첫 월급봉투를 받아들고 얼마나 기뻤는지 눈물로 월급봉투가 젖었다.
우선 고향에 계신 부모와 외할머님, 동생들 모두 내복 열 한 벌이 필요했다.
처음에는 백화점으로 달려가 고급 내복을 골랐는데 현금이 턱 없이 모자랐다. 아무리 사정해도 주인은 고개를 저었다. 아쉬웠지만 남포동 시장에서 샀다. 난생 처음 고향으로 한 아름 소포를 붙이고 지갑을 열어보니 동전만 몇 개 남았다.
영도다리를 건너오면서 마음속으로 ‘바다가 육지라면 눈물은 없었을 것을…….” 흥얼거렸다.
내복을 선물한 덕분일까? 인정 많은 직장 동료들 덕분으로 객지 생활의 어려움은 못 느꼈지만 향수병으로 마음이 피폐해졌다. 일년 육 개월을 못 넘기고 귀향을 서둘렀고 중매로 만추의 계절에 웨딩드레스를 입었다.
현모양처가 꿈이었기에 나는 두 아들을 키우면서 예쁜 내복을 선물하는 친지나 형제들에게 고마운 마음을 간직하며 가계부 뒷장에 기록했다.
큰 아들이 학업을 마치자마자 특채로 직장에 입사하고 첫 월급을 받아왔다.
내복을 선물할 것을 권장했다.
네가 크는 동안에 많은 친지들이 내의를 선물해 주었으므로 너도 보답하는 마음으로 첫 월급을 내복 선물로 정하면 좋겠다하니 아들도 기꺼이 찬성했다.
친지들의 이름을 적으며 선물 내복은 28벌, 28명의 반가운 얼굴들이 눈앞에 서 미소 짓는다.
아들의 앞날에 풍파를 막아줄 것 같은 생각이 들어 마음이 매우 흡족했다.
세월이 흘러도 변하지 않을 선물로 따뜻하고 포근한 내복이면 좋겠다.
겨울엔 가계부에 난방비(가스) 지출을 기재하기가 두렵다. 요즘은 내복도 패션이다. 올 겨울엔 얇고 부드러운 내복으로 몸매를 지키고 추위도 이겨내야지. 장롱 속에서 잠자고 있는 가족들 내복을 꺼내어 톡톡 털어내며 온기를 불어넣자.
가까운 시일에 부모님의 건강한 겨울나기를 위하여 내복을 사 드려야겠다.
아마도 내복을 내의라 하지 않는 뜻은 속옷이 아니고 겨울나기에 건강을 위하여 갖춰 입는 양복이라는 뜻이리라.